maggun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메인 메뉴


콘텐츠

홈 > ARTICLE > 사회
여교사들로 구성된 '이야기샘' 회원들과 '탁류길 탐방'을 다녀와서
글 : 이진우 /
2016.12.01 11:47:09 zoom out zoom zoom in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탁류길' 따라 걸으면 1930년대 군산 느껴져

여교사들로 구성된 '이야기샘' 회원들과 '탁류길 탐방'을 다녀와서

 

 

 

 

초등학생들의 애향심 고취와 향토사 공부를 위해 여교사들이 나섰다. 지난 20133월 출범한 '이야기 샘'(최장 최혜란) 회원들이다. '이야기 샘'은 교사와 학생들이 2주에 한 번씩 도서실에 모여 그날 정해진 그림책 두 권을 읽고 토론하면서 공부하는 스터디 모임이다. 회원은 군산시 소재 초등학교에 재직하는 30대 여교사 14명으로 구성됐다.

 

설명숙 교사는 "그림책을 읽고 공부하는 목적은 책 속의 글과 그림을 좀 더 깊이 있게 읽어내고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는 그림을 통해 아이들과 소통함으로써 교사로서 도움을 얻고자 함"이라며 "그림책은 아이들이나 보는 '어린이 책'이라는 편견에서 벗어나 어른들도 읽고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세상을 이해하고 마음이 풍요로워지는 기쁨을 맛볼 수 있다."고 덧붙인다. 그는 '탁류길 탐방'을 기획하게 된 사연도 전했다.

 

"회원 중에는 직장을 따라 타지에서 온 선생님도 여러분 계십니다. 군산에서 태어나 자란 회원이라 해도 정작 고장의 역사에 대해서는 아는 게 없었죠. 그러던 어느 날 어린이들에게도 향토사가 필요하다는 것을 절실히 느꼈습니다. 학생들 지도를 위해서는 우리가 먼저 알아야겠기에 일제강점기 군산을 배경으로 쓴 소설 <탁류>를 읽고 채만식 문학관에도 다녀왔죠. 그러나 <탁류>는 초등학생들이 이해하기 버거운 소설이어서 쉽게 알려줄 방법을 연구하다가 '탁류길 탐방'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전국에서 가장 악명 높았던 군산 미두장

기자는 지난 19() 오후 2시 군산시 장미동(해망로) 내항사거리에 설치된 팔각정에서 여교사들(교사 11, 중학생 1)을 상대로 소설 <탁류>의 등장인물과 지명유래에 얽힌 군산의 근현대사 강의를 진행했다. 강의가 끝난 뒤에는 소설 초반부에 등장하는 내항 사거리(미두장 앞)- 구 조선은행 군산지점(근대건축관)- 째보선창(죽성포구)- 싸전거리- 대정동(큰샘거리)- 한참봉 쌀가게- 초봉이네 집(정주사집) 등을 돌아봤다.

 

군산 '내항 사거리'는 동서를 가로지르는 '해망로'(본정 1정목)와 남북으로 길게 뻗은 '대학로'(6조통)가 만나는 지점이다. 최근에 설치된 팔각정은 시민의 휴식공간으로 구 조선은행 군산지점과 이웃하고 있다. 6조통은 군산 개항(1899) 이후 금강 지류를 복개한 간선도로였다. 본정 1정목은 '혼마치', '군산의 심장' 등으로 불리었다. 이곳은 조선은행 건물이 들어서는 1922년 이전까지 바닷물이 드나들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사거리 모퉁이에는 1930년대 미두장(미곡취인소)이 있던 자리였음을 알리는 빗돌이 세워져 있다. 일제는 전국 곳곳에 미두장을 설치했는데, 군산 미두장이 가장 악명 높았다고 한다. "미두판에 다니는 사람들의 노름 열기", "20만평 땅 날린 차 모씨 이 모씨···", "미두에 실패하고 바다에 투신" 등의 군산발 옛날신문 기사들이 재산을 탕진한 조선인이 많았음을 시사한다. 군산 미두장은 광복 후 원불교 교당으로 사용하다가 한국전쟁 때 화재로 사라졌다.

 

일제는 만주침략이 본격화되는 1930년 공업화 정책 실행에 필요한 자금 조달과 군산 미연취인시장의 투기 방지를 명분으로 군산에 미곡취인소를 설립하기로 정한다. 그 결과 193211일 전라북도를 관할구역으로 미두장이 설립된다. 군산 미두장은 1939년까지 7년간 운영하였다. ()과 콩()을 거래한다고 해서 미두장(米豆場)이라 하였고, 기간을 두고 쌀을 거래하는 시장이라고 해서 '기미(期米)시장'으로도 불리었다.

 

군산 미두장은 오사카 도지마취인소 가격을 전보로 통보받아 가격을 정했다. 오전 10회 오후 7회 장이 열렸다. 100석 단위로 거래하였고, 쌀값의 10%만 있으면 거래에 참여할 수 있어 적은 돈으로도 막대한 이익을 얻거나 잃을 수 있는 '고위험 고수익' 구조였다. 시세 변동을 알리는 딱딱이 소리 한 번에 미두꾼들은 천국과 지옥을 오갔다. 그날 시세를 외치는 사람을 요비코(呼子), 장외 투기꾼을 하바꾼(合百), 소액 투자자는 마바라(잔챙이)라 하였다.

 

 

초봉이는 조선, 정주사는 조선의 썩은 관리, 장형보는 일본을 연상시켜

본정 1정목을 경계로 미두장과 마주보고 있는 조선은행 군산지점은 <탁류>에서 초봉이와 혼인하는 고태수 직장으로 나온다. 소설에서 파란 지붕의 'XX은행'으로 등장하는 조선은행은 일제 식민치하 대표적인 금융시설이자 군산의 근대사를 상징하는 건축물 중 하나로 꼽힌다. 2008년 국가 등록문화재 374호로 지정되었고, 2013년 이후 군산의 근대 건축물들 모형을 전시해놓은 '근대건축관'으로 이용되고 있다.

 

소설 <탁류>는 작가 채만식(1902~1950)의 특징을 집약한 역작으로 소설 전반부는 군산을 배경으로 전개된다. 풍자와 해학이 돋보이는 이 소설은 19371012일부터 1938515일까지 <조선일보>에 연재되었고, 1939'박문서관'에서 단행본으로 간행되었다.

 

"에두르고 휘돌아 멀리 흘러온 물(금강), 마침내 황해 바다에다가 깨어진 꿈이고 무엇이고 탁류째 얼러 좌르르 쏟아져버리면서 강은 다하고, 강이 다하는 남쪽으로 대처(시가지) 하나가 올라앉았다. 이곳이 군산(群山)이라는 항구요, 이야기는 예서부터 실마리가 풀린다."소설 <탁류>에서

 

연재를 끝낸 채만식은 출판을 앞둔 어느 날 복사한 원고를 책상 위에 수북하게 쌓아놓고 잠들었다가 꿈에서 계봉이를 만난다. 꿈 이야기는 삽화가 들어간 콩트 형식으로 <동아일보>에 게재된다. 채만식은 계봉이를 통해 초봉이는 3년째 복역 중이고, 승재는 애오개 병원에 근무하며, 계봉은 승재와 동거하면서 언니(초봉이) 딸 송희를 맡아 기르고 있음을 알게 된다. 채만식이 <탁류>에 얼마나 심혈을 기울였는지 읽혀지는 대목이다.

 

소설 <탁류>는 주인공 초봉이의 기구한 운명과 정주사의 몰락 과정을 통해 식민지 한국 사회의 그늘을 조망한다. 등장인물들의 기구한 삶과 비참한 처지는 조선이 망해가는 구한말 시대를 떠오르게 한다. 초봉이는 청순하기는 하지만 자기 인식이 희박해서 언제나 흘러가는 대로 몸을 맡겨버리고 남자들에게 농락당한다. 계속 침략당하는 것이다. 초봉이는 조선, 정주사는 조선의 썩은 관리, 간교하고 음흉한 장형보는 조선을 짓밟은 일본을 연상시킨다.

 

<탁류>'인간 기념물'로 시작하여 서곡(序曲)으로 끝맺는 19개 소제목으로 이루어졌다. 작품에서는 사기와 간통, 모함과 살인사건이 이어지는 등 일제식민지 사회상을 날카롭게 그려내고 있음에도 검열 때문이었는지 일본인은 한 명도 등장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일제에 짓밟히고 억눌린 식민치하 조선인들의 비참한 생활상을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다. 그래서인지 1941년 재판 간행 후 총독부로부터 발행금지 처분을 받는다.

 

소설에서 정주사와 초봉이가 거닐던 길은 나라를 빼앗긴 조선 사람들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길이라는 점에서 수탈과 억압의 역사성을 그대로 상징한다. 또한 군산 원도심권은 일제강점기 도시조를 원형에 가깝게 간직하고

이진우님 기사 더보기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닫기
댓글 목록
댓글 등록

등록


카피라이터

주소 : (우)54020 전북 군산시 절골3길 16-2 , 출판신고번호 : 제2023-000018호

제작 : 문화공감 사람과 길(휴먼앤로드) 063-445-4700, 인쇄 : (유)정민애드컴 063-253-4207, E-mail : newgunsanews@naver.com

Copyright 2020. MAGAZINE GUNSAN. All Right Reserved.

LOGIN
ID저장

아직 매거진군산 회원이 아니세요?

회원가입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아이디/비밀번호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