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종구의 독서칼럼: 책과 사람 그리고 세상 이야기 - 장류진. <달까
홍상수 감독의 영화 가운데 ‘잘 알지도 못하면서’라는 작품이 있다. 본 지가 너무 오래 되어서 기본적인 스토리 라인조차 가뭇없지만, 그 제목은 아주 매력적인 영화라고 생각한다. ‘잘 알지도 못하면서’라는 그 제목은 우리네
[매거진군산 / 2024.12.30]
|
|
 |
배수정의 미술칼럼 - 고대 미술편Ⅰ. 망자의 회귀를 기다리는 미술 ‘
지난 10월 선사시대 미술을 서두로 역사를 따라가 보려한다. 선사시대를 지나 고대 미술에는 이집트,그리스, 로마 미술이 있다.
이 가운데 오늘은 이집트 미술을 소개하려 한다. 이집트 미술(B.C.3,000~B.C. 52
[매거진군산 / 2024.11.22]
|
|
 |
공종구의 독서칼럼: 책과 사람 그리고 세상 이야기 - 이소연 <옷을
“한권의 책은 우리 안의 얼어붙은 바다를 깨는 도끼여야 한다”는 카프카의 말에서 이번 글을 시작하려고 한다. 그 제목에서부터 약간은 도발적인 기운이 느껴지는 <옷을 사지 않기로 했습니다>라는 책 때문이다.
[매거진군산 / 2024.11.22]
|
|
 |
신재순 시인의 아이와 떠나는 자연산책 12 - 새알 같이 생긴 박,
11월, 큰 거리에 있는 교회당엔 크리스마스트리 장식이 환하겠네. 크리스마스를 떠올릴 시기가 됐다는 건 겨울 한가운데로 간다는 거고, 올해와 작별을 할 때가 가까워졌다는 거겠지. 크리스마스가 있다는 건 참 즐거운 일이야.
[매거진군산 / 2024.11.21]
|
|
 |
명인(名人) 김철호의 고사성어로 바라본 맛있는 창업 - 장사가 안 된
며칠 전 지인과 소위 맛집이라고 하는 식당에 찾아 간 적이 있다. 음식의 차림새도 좋고 맛도 좋아 즐겁게 식사를 즐기고 있는 와중에 종업원의 잘못된 서비스 마인드로 인해 마음을 상한 적이 있다.
[매거진군산 / 2024.11.06]
|
|
 |
신재순 시인의 아이와 떠나는 자연산책 11 - 자기 치유의 정석 고구
10월, 시골에선 고구마 캐기가 한창이겠네. 고구마 캐 봤니? 호미로 가만히 고구마 두둑을 파헤치면 고구마가 빼꼼 고개를 내밀지. 고구마가 다치지 않게 살짝 들어 올리면 빨갛고 윤기나는 고구마가 나올 거야. 넌 환하게 웃으
[매거진군산 / 2024.11.06]
|
|
 |
배수정의 미술칼럼 - 글자가 만들어지기 전의 아주 오래된 미술 이야기
칼럼을 쓰기위해서 유명한 화가의 발자취를 들여보다보니 우리에게 알려지지 않던 오랜 시대의 무명 작품들에 대한 궁금증이 생기게 되었다.
[매거진군산 / 2024.11.01]
|
|
 |
공종구의 독서칼럼: 책과 사람 그리고 세상 이야기 - 김훈. <허송세
대책 없을 정도로 그냥 좋아하게 되는 사람이 있다. 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나에게는 김훈의 글이 그러하다. 그의 글 앞에서 나는 속수무책으로 무장해제당하고 만다.
[매거진군산 / 2024.11.01]
|
|
 |
명인(名人) 김철호의 고사성어로 바라본 맛있는 창업 - 자강불식(自强
연일 미디에서 자영업자들의 시위 소식이 들려온다. 이대로 가다간 정말 죽겠다라는 창업자들의 곡(哭) 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매거진군산 / 2024.10.21]
|
|
 |
공종구의 독서칼럼: 책과 사람 그리고 세상 이야기 - 김양희. <인생
지난 3월 23일 각 팀당 144게임을 치러야 하는 일정의 2024 프로야구가 그 막을 열었다. 광주를 연고로 하는 기아 타이거즈 팬의 한 사람으로서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그 여정에 동참하고 있다.
[매거진군산 / 2024.10.21]
|
|
 |
솔꼬지길 너머
청소년수련원에서 월명호수를 따라 오른쪽 길로 접어들면 소나무 사이로 파아란 가을 하늘이 청명하다. 초록에 지친 잎들이 조금씩 물들어가는 초가을, 길에 붙은 이정표가 보인다. 솔꼬지길이다.
[매거진군산 / 2024.10.01]
|
|
 |
휴가철 맞아 떠나는 선유도 해수욕장, 끝없이 펼쳐진 모래사장 거닐어
어느덧 계절이 초여름의 끝자락을 지나 뜨거운 태양이 내리쬐는 7월로 달려왔다. 다가오는 휴가철을 맞아 군산의 휴양지로 떠나 보자.
[매거진군산 / 2024.07.26]
|
|
 |
신재순 시인의 아이와 떠나는 자연산책 8 – 더덕 꽃을 기다리며
지금은 7월이니까 아직 더덕 꽃은 피지 않았어. 8월이 지나야 필 거야. 어릴 때 엄마가 그랬어. 더덕은 집안에 심는 게 아니라고. 왜 그랬을까? 더덕을 제대로 즐겨본 사람은 알 것 같아.
[매거진군산 / 2024.07.26]
|
|
 |
신재순 시인의 아이와 떠나는 자연산책 7 - 타래난초에게 배우는 삶의
어떤 꽃은 오랜 기다림 끝에 우연히 만나지기도 한단다. 타래난초는 식물도감으로 먼저 만난 꽃이야. 실타래처럼 꼬아 올라가는 모양으로 꽃이 피어서 붙여진 이름이지.
[매거진군산 / 2024.06.19]
|
|
 |
공종구의 독서칼럼: 책과 사람 그리고 세상 이야기 - 누구랄 것 없이
현재 한국사회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협하는 요인들 가운데 가장 심각한 문제는 무엇일까?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 절벽’의 문제가 아닐까 생각한다.
[매거진군산 / 2024.06.19]
|
|